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우리는 Calisthenics 입니다!

[WebRTC] 2. STUN/TURN 서버란? 본문

WebRTC

[WebRTC] 2. STUN/TURN 서버란?

ys1090 2021. 7. 30. 13:25

💡 STUN/TURN 서버의 필요성


STUN
서버는 UDP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며, 클라이언트는 NAT 환경에서 자신의 Private IP를 별도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P2P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STUN 서버를 통해 자신의 Public IP를 확인해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STUN 서버를 이용해 외부 주소를 얻지 못한다면 TURN 서버를 통해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예를 들어, 두 클라이언트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고 있을 경우 STUN 서버로는 해결 불가능하다.)

STUN server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을 할 경우

 

TURN 서버는 클라이언트들이 서로 통신할 때 public 망에 존재하는 TURN 서버를 경유하도록해 미디어 스트리밍을 할 수 있게 해준다.

TURN은 STUN의 확장 개념이고 클라이언트가 서로 다른 NAT 또는 방화벽 뒤에 있을 때, 이를 순회하며 클라이언트가 중개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TURN server를 사용해 네트워크 연결을 할 경우

 

🔗 참고자료

HTML5 Rock - WebRTC

 

'WebR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RTC] 1. WebRTC란?  (0) 2021.07.26